사회적경제 주부서포터즈 7기/협동조합

반디 협동조합

sunnnyyy 2017. 1. 24. 17:56

반디는?



▶ 프랑스어로 알리다Ban

미소를 나타내는 이모티콘 :D를 합쳐서 만들어진 Ban:D

▶ 딧불이라는 뜻의 반디는

"작은 반딧불이 모이면 큰 불빛이 되듯이 대학생 한 명은 큰 힘이 없지만 모이면 지역의 큰 변화를 이끌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대구 마을과 문화기획을 연계하여 청년들이 모여드는 마을,

그리고 청년들이 찾아가는 마을이라는 주제를 주민과의 소통프로그램, 예술이라는 문화콘텐츠로

주민들과 함께 승화시킨 마을축제를 꿈꾸는 요즘 보기 드문 철없는 청년 협동조합입니다.

철없는’이라는 단어로 표현한 이유는

청년들은 취업, 창업 등에 초점이 맞춰서 공동체의 중요성과 함께 살아가기를 잘 알지 못합니다.

근데 저희는 250(대구광역시 인구)분의 10(반디 활동인원)의 확률로

그것을 너무나 철없게 알아버리고 삽니다.

철없이 행동하는 청년 협동조합이 바로 반디를 대표하는 함축적 의미입니다.






반디의 연혁




 


 반디의 사업 프로세스




반디의 청년공동체 활동가 양성 커리큘럼







반디의 공동계획수립과 마을축제






반디는 지역 4년제 대학인 경북대와 계명대, 대구 가톨릭대, 대구대, 영남대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처음에는 대학생 소식을 싣는 잡지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2011년 9월에 ‘반디 매거진’을 냈습니다.
그러다 기성세대 위주로 진행되는 지역사회 행사에 대학생 참여를 늘리는 일을 시도하면서 기획 단체로 성격이 굳었습니다. 


최근에는 동성로 축제, 전통시장 살리기 프로젝트에서 홍보를 지원하고 청춘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장을 열고 있습니다. 
매년 여름 인기를 끈 치맥 페스티벌도 2014년에 반디가 주도적으로 기획했다고 합니다.



또 문화ㆍ예술 공연, 대구지역 행사에 참여해 20대의 젊은 기획을 주도하였으며

강연회, 버스킹 공연을 꾸준히 열어 소통하는 대학생 문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렇게 직접 축제를 기획하고, 운영한다고 합니다.

2017년에는 대학쪽문 골목축제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경북대학교 인근에 위치한 대현동어린이공원에서 매년 2회(5월, 10월) 골목축제를 시행함으로써

청년과 주민들이 하나의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음악과 예술 등의 볼거리도 풍부하다니

한번쯤 가보세요!!!!!!

또한 우리동네 골목학교라는 활동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경북대학교를 다니며 받는 등록금 감면 혜택을 지역사회에 환원하고,

학습뿐만 아니라 마을공동체를 통한 교육의 보완 네트워크를 만들어가는 활동으로

소외계층에게 우선적인 기회가 제공된다고 합니다.​

대구 청춘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반디 협동조합의 무궁무진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화이팅!!!



​찾아오시는 길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동 22-8 3층

전화: 010-4805-4259